Research and Curatorial Collective Southeast Asian Art Study
AS is a curatorial and research collective launched by Moon Hayn and Jo Hyunah. We aim to rewrite the history of visual art in Southeast Asia through their research, breaking away from standardized art education centred on Western art history. Works of AS suggest that continued research in this field is essential.
We aspire to explore artworks, exhibitions, and documents that reflect the socio-political perspectives of the recent past, recognizing that the visual art developed by eight countries and regions under Japanese influence before the Pacific War (including Malaysia, Singapore, Indonesia, Hong Kong, the Philippines, Myanmar, Vietnam, and Cambodia) — which underwent histories of colonization, war, and dictatorship — has been omitted from our “official” art history education.
AS는 문혜인과 조현아로 이루어진 스터디 및 큐레토리얼 콜렉티브로, 서구 미술사 중심으로 이루어진 제도권 미술교육을 받은 두 명의 연구자가 자력으로 동남아시아 시각예술사 재서술을 시도하며, 이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우리는 태평양전쟁 이전 일본의 영향 아래 있었던 8개국 및 지역(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홍콩 · 필리핀 · 미얀마 · 베트남 · 캄보디아 · 인도네시아 등)이 식민과 전쟁, 독재의 역사를 거치며 발전시킨 시각예술이 우리의 ‘정규’ 미술사 교육에서 누락된 정보임을 인지하고, 근과거의 사회적 시각을 반영하는 미술작품과 전시, 기록물을 살펴가는 것을 목표한다.

The map of Southeast Asia, drawn in pixels on graph paper, showcases AS’s alternative research process, grounded in study. By navigating around the grid centered on Western, military,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AS aims to unfold a new visual art history focused on the “Southeast” through reading, writing, mistranslation, and reinterpretation.
모눈종이에 픽셀로 그려진 남동아시아 지도는 AS가 스터디를 기반으로 수행해온 대안적 연구 과정을 보여준다. AS는 서구와 군부, 제도가 그려온 북반구 선진국 중심의 그리드를 우회하며 읽기와 쓰기, 오역과 재생산으로써 ‘남동’을 기준으로 한 시각예술사의 지대를 펼쳐갈 예정이다.
Jo Hyunah 趙顯芽 조현아
Jo Hyunah has been working as an art critic since winning 3rd place in the GRAVITY EFFECT 3rd Art Criticism Award(2019, Graphite on Pink, Seoul). She worked as an Editor in Wolgnamisool, a monthly art magazine, from 2020-2023, and is currently working as a coordinator for the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as of 2024. She acquired her master’s degree from Hongik University with the thes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alism in Singapore woodblock prints from the 1950s to the 1960s.”
조현아는 제3회 미술비평 공모 그래피티이펙트(2019) 3위를 수상하며 미술비평가로 활동해왔다. 2020-2023년 월간미술 기자로 근무했으며, 현재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코디네이터로 일하고 있다. 논문 「1950~1960년대 싱가포르 목판화에 나타난 리얼리즘의 특성 연구」로 홍익대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제1회 아트인컬처 평론 프로젝트 ‘피칭’ 선정자로, 아트인컬처 2024년 2월호에 「엄마들의 초상, 끈끈한 기념비」 제하의 글을 실었다.
Moon Hayn 文惠仁 문혜인
Moon Hayn has curated several exhibitions, including her solo exhibitions 《Cosmos Scenery》(2018, Laumt, Seoul) and 《/Unpackaged Garden/》(2016, CentreA, Vancouver), a two-person exhibition. Moon also organized 《Gwanlamcha》(2022, Alterside, Seoul), a workshop exhibition on technocracy, and won third place in the curatorial competition award, 《Unpaid Compound shop》(2016, Gwangmyeong Upcycle Art Center, Gwangmyeong). She received her Master’s degree from Ewha Womans University with the thesis “Identity Politics and The Role of Art in Creating Public Spaces”.
문혜인은 개인전 《Cosmos Scenery》(2018, 라움트, 서울)과 2인전 《/Unpackaged Garden/》(2016, CentreA, 밴쿠버)를 비롯해 기술 권력에 관한 워크숍 전시인 《관람차》(2022, 얼터사이드, 서울)를 기획했고, 기획 공모전 《유료만물상》(2016, 광명업사이클링아트센터, 광명)에서 3위를 수상하며 단체전에 참가했다. 논문 「정체성 정치와 공론장을 만드는 미술의 역할」로 이화여대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Support us!
AS is a nonprofit research collective dedicated to the study and exploration of Southeast Asia. Your small support means a lot to us and greatly empowers our efforts. Thank you!
AS는 비영리 연구 콜렉티브로 남동아시아 연구와 발굴을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후원자 여러분의 작은 도움이 저희에게는 큰 힘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Contact
as.from.seoul@gmail.com
조현아 趙顯芽 Jo Hyunah I hyunahyeo@gmail.com
문혜인 文惠仁 Moon Hayn I haynmoon@gmail.com